인생여정/업무스킬

[업무스킬]자동차업계 용어정리

Happy_john.11 2017. 3. 17. 13:16
728x90
반응형

※ 자동차업계에서 통용되는 기본용어의 정의

 

 

 

용어 약어 내용 및 의미
TRIAL CAR T-CAR 개략적인 NVH, 충돌특성, COOLING, SUSPENSION, BRAKE, 배기개발 및 신기술사양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FLATFORM 및 LAYOUT을 반영하여 제작한 선행 시작차.
TRIAL CAR
(MECHANICAL PROTO)
T-CAR (M/P) 신 플랫폼 개발, 신기구 채택 등을 목적으로 일부 부품의 신작과 양산 부품을 이용, 차량을 조립하거나 양산차를 개조하여 제작하는 시작차
PROTO CAR(시작차)    설계도면에 준하여 간이금형등을 이용한 부품제작과 간이 조립지그를 이용하여 조립한 차
PROTO LIST (시작차 현황표)   PROJECT 단위로 시작차의 소요현황을 정리한 LIST로 호차 No, 시험목적, 소요부서, 차량구분(B.I.W, 완성차), 사양, OPTION, 제작예정일 등이 기재되는 시작차 제작의 기본 지침서. ※ 동일어 : PROTO CAR 제작일정, 용도차 소요현황
PRESENTATION (모델고정) 고정 Styling에 대한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이 최종적으로 보완, 완료된 모델 평가.
PRESENTATION (모델승인) 승인 1:1 모델 평가로 Styling에 대한 최종 결정
MASTER CAR   설계 개선안이 반영된 PROTO 최종 모델.
PILOT CAR   신차종으로서 JIG 및 PRESS PANEL의 정도확인,부품장착성과 기능확인,작업방법과 작업성 검토,내구성 및 시험용 차량지원,작업자 숙련 및 완성차 품질확인등을 목적으로 신규 설비 LINE
PILOT #0 P0 신차종 생산 시 장비의 시운전을 위해 직접 생산 Line에 투입한 최초의 차량.(차체부문)
PILOT-0  P0 JIG 및 PRESS PANEL의 정도확인 및 의장부품 MATCHING성 확인 차량
PILOT-1  P1 BODY정도확보,설비 및 치구 품질확보,작업자훈련,내구시험차량 제작등을 목적으로 만드는 차
PILOT-2  P2 시험결과 제시된 부품,설비,치구등의 문제점 개선 반영결과 확인 및 미개선,미완료 문제점 개선 DATA를 수집하고 차량/부품 종합품질확인 내구시험 및 제원 확인 목적으로 제작한 차
PILOT-3  P3  시험결과 제시된 문제점 개선 반영결과 확인 및 홍보 교육용으로 제작되는 차량
양산선행   완성차 최종 품질확인,설비치구의 양산성 최종 확인,양산이행 가능여부 확인,전시용 차량제작을 목적으로 한다.
PILOT PRODUCTION PP 초도양산
MASS PRODUTION MP 양산
START OF PRODUCTION
(양산시점)
SOP 양산시점
MODEL YEAR MY 차량 상품성 개선을 위한 변경 및 EMISSION 대응등 변경 범위가 매우 적은 제품 개발을 의미.
FACE LIFT F/L 차량 Life Cycle 중간에 상품성 개선 및 Image 제고를 위해 모델 일부분(바디,엔진,샤시)을 개선 변경하는 것.(예: 승용휀더,후드/상용프론트 판넬)
BALANCE OUT MODEL
(단종모델)
  MODEL CHANGE, FACE LIFT 등, 신 MODEL 생산으로 생산이 이미 중단된 MODEL을 말함.
BODY IN WHITE BIW TRIM하기 전의 차체 COMPLETE 상태의 CAB
PAINTED BODY STORAGE  PBS 자동차 제조공정중 도장완료후의 BODY를 대기시켜 놓는 장소
업체서열   제품의 크기나 사양이 다양하여 공장내 저장이 곤란한 부품으로 PBS SEQUENCE ORDER에 준하여 협력업체에서 직접 LINE SIDE로 불출하는 형태
     
LOCAL PART LP 국내에서 생산하는 부품
KNOCK DOWN KD 완성차의 부품을 일부 분해하여 수출,수입하는 방식
MADE IN PLANT
 (공장제작 금형부품)
MIP 당사에서 일정한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부품
MIP부품   MADE IN PLANT. 완성차 MAKER에서 자체 생산하는 부품
MIP이관 외주화  자체 제작에서 국내 협력업체 제작으로 돌리는 행위
CARRY OVER 부품 C/O 기존차량의 부품으로 이미 개발되어 양산에 적용되고 있는 부품을 말하며 H/WARE도 포함된다.
사급   부품발주처에서 제작입고처에게 공급하는 부품 & 금형
END ITEM E/ITEM BOM을 구성하는 부품의 최소단위
UNIQUE PART   단일 차종에만 적용되는 부품
MANAGEMENT DEVIATION MD  부품,생산설비 및 작업성등에 의한 부적합 문제발생시 적용조건 및 개선대책을 수립하여 정책결정을 받기위해 작성하는 절차
제작사 일련번호
(VEHICLE INDICATOR SECTION)
VIS 차량식별번호의 10~17번째 자리를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제작년도, 생산공장, 제작일련번호를 나타냄
차량식별번호 / 차대각자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 차량의 식별을 위해 자동차 차대에 직접 타각하거나 PLATE에 타각하는 차량의 고유 식별번호를 의미하며 17자리로 구성됨
ALTERNATIVE PART
 (대체부품)
ALT 대체부품, 자재발주 및 조립작업시 대체가 가능한 부품으로 BOM 구성시에는 대표 부품번호만 연결하여 사용하며 여러 업체에서 납품 받을 경우, 구매 담당자에 의해 업체 및 부품이 선택될 수 있는 부품
AS REQUIRED (필요수량) AR 구성부품의 소요수량이 명확하지 않을시 사용 (예 : GREASE, SHIM 등)
AS SOON AS POSSIBLE ASAP 신,구 부품의 적용 요구 시점을 재료 소진후 가능한 빨리 적용
CROSS MEMBER C/MBR 양측 SIDE FRAME을 연결해주는 MEMBER로서 SIDE FRAME보다 내측에 있는 부재
DAMPING FORCE DAMP'G FORCE 감쇄력
DISC THICKNESS VARIATION DTV BRAKE DISC의 두께 변화량
DIMPLE EMBO 차체 판넬에 위치 SETTING을 위해 성형한 돌출이나 함몰된 작은 돌기
MANUAL STEERING GEAR 565A  
NORMAL POWER STEERING NPS 일반 유압 Power Steering
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 엔진동력을 이용하는 Power Steering Pump를 삭제하고 전동Motor를 이용하여 Power Steering 기능 수행 (Motor Driven Power Steering)
ELECTRONIC POWER STEERING EPS 차속, 조향각속도, 조향량에 따라 최적 조향특성을 갖도록 유압제어하여 조향FEELING을 저속에서는 가볍고, 고속에서는 무겁게함. 운전편이성 및 고속주행안전성 향상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전자제어 서스펜션)
ECS 주행 조건이나 노면 상태에 따라 지상고나 감쇄력을 변경하여 최적의 승차감이나 조향 성능을 유지하게 해 주는 장치
ELECTRONIC SINGLE POINT SENSING (일점감지식 센서) ESPS 충돌을 감지하여 Airbag 전개 여부를 판단하거나 전개 필요시 Air Bag에 전개 신호를 주는 장치
 ELECTRONIC TIME AND ALARM CONTROL SYSTEM  ETACS TIME CONTROL 및 WARNING ALARM CONTROL UNIT를 하나의 다목적으로 통합
FREQUENCY TRAVEL CONTROL  FTC 주파수 감응 SHOCK ABSORBER. 타이어에 입력되는 주파수에 따라 감쇄력을 자동적으로 변화시키는 SHOCK ABSORBER.
LIMITED SLIP DIFFERENTIAL LSD 기존 차동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좌/우 바퀴 구동력을 노면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배분하는 장치
SHOCK ABSORBER S/ABS 진동을 흡수하는 SUSPENSION 장치
DRIVER AIR BAG DAB 운전석 보호하기 위한 AIR BAG
PASSENGER AIR BAG PAB 조수석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AIR BAG
SIDE AIRBAG (측면 에어백) SAB SEAT BACK BOLSTER 및 DOOR 내에 내장되어 있어, 측면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는 측면 A/BAG
REAR SIDE AIRBAG
(후석 에어백)
RAB 고급차량의 후석 승객의 정면 충돌시 안전성을 확보키 위해 FRONT SEAT BACK 후면 또는 ROOF에 장착하는 후석용 A/BAG
고주파 열처리   고주파 전류에 의해 강의 표면을 급속하게 가열한 후 담금질 시키는 것
불용자재(EXCESS)   사용 불가능한 자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