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설명한 비교우위의 원리의 기하학적 구조는 저희가 경제학의 기초지식의 한계로 더 이상 설명드리지 못할 것 같아서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교우위이론이란? 자국에서 생산된 상품이 외국에서 생산된 상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생산비가 싼 비교우위에 있는 상품일 때 각국은 이를 특화하여 다른 국가와 무역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으로, 고전 경제학파인 영국의 데이비드 리카도가 규명한 대표적인 근대무역이론입니다. 이런 리카도의 비교우위 이론은 매우 단순한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그 가정이란 노동만이 유일한 생산요소이며 상품의 가치는 노동투입량에 의존하다는 것과, 국가간의 거래를 단순화시켜 두 나라와 두가지 재화만을 설정한 상태에서 이론을 전개한다는 것입니다. 흔히 우리나라는 ..